목록정전류 (3)
마음 속 하늘은 항상 맑음~!
500mA를 만들려다 만들어진 600mA 정전류 회로. 18650 플래시 중에 1200mA를 자주쓰이는 것 같아서 기존의 1A충전 회로를 쓸 수 있도록 만들었다. LED는 보일 정도로 밝기가 안나오고 2907은 다른 PNP 타입의 트랜지스터를 쓰면 된다. 병렬로 해도 트랜지스터의 발열이 좀 있다. 일단 600mA 정도의 전류가 나오는 것은 확인. 오차로 더 많이 나올수도 있다. 대충 설계 이론치는 (1.8+0.6+0.6-0.7)/3.9=589mA이나 테스터기로 측정해보니 약간 더 나온다.
2.5V 전압 소스를 위한 IC인 TL341A를 이용한 정전류 회로. 2.5-0.7=1.8V가 전류를 위한 전압으로 되고 결론적으로 18mA 정도가 흐르게 된다. TL431의 REF 핀을 Q1 3번에 연결시켜면 더 높은 전압이 나오지만 이게 LED 스펙에 따른 전류량에 조금 문제가 있는 것 같다. 이 경우에 일반 LED를 사용하는 경우, 30mA까지 껑충 뛰는 전압이 나온다. 그래서 U1 캐소드 핀에 REF를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그리고 주의할 다른 점은 Q1앞의 R3이다. 이 저항으로 전류량이 소폭 상승한다. 그리고 베이스에 필요한 전류량에 민감해지지 않도록 hfe가 비교적 높은 BC547B(최소 hfe 200)를 사용했다. R1은 입력 전압이 높아지면 4.7k 정도로 큰게 좋다. 18V정도로 입..
정전류 회로를 접근해본 만들어보는 또다른 회로. 제너와 LED 2개로 각각 고정전압을 만든 회로인데, 앞의 제너를 이용한 회로는 내가 가지고 있던 제너 다이오드가 3.6v 정전압이 나오는 70mA 조건을 충족하지 못해서 9v에 19mA 정도가 나온다. 전류를 늘리려면 R6를 낮추면 된다. 제너 다이오드로 만든 회로는 그러한 이유 때문에 전압에 다른 전류 크기의 변화가 살짝 있다. R5 저항값을 낮추면 되는데 전력소비가 늘어나는 것 때문에 그냥 하지 않았다. Iz가 낮은 제너 다이오드를 사용하면 되는데 나중에 시도해봐야겠다. 두번째는 LED 2개로 3.6v를 만드는 꼼수를 사용. 그 꼼수 LED가 항상 빛을 발산한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전압에 따른 고정적인 전압을 만드는데 최고다. D4,D7에는 특별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