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libreelec (9)
마음 속 하늘은 항상 맑음~!
새로운 kodi 테스트 버전에서는 넥플릭스의 시청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약간의 번거루운 과정을 거치는데, 1. 가장 최근의 넷플릭스 애드온으로 업데이트 https://github.com/asciidisco/plugin.video.netflix/archive/0.11.14.zip 2. 암호화된 내용을 풀어줄 libwidevine의 설치를 해야하는데, 콘솔로 접근해서 작업을 하면 된다.curl -Ls http://nmacleod.com/public/libreelec/getwidevine.sh | bash 3. 그리고 inputstream 애드온 설정에서 최대 화질을 720으로 맞추면 된다. 1080은 현재 재생이 어렵다고함. (주) 테스트 빌드 0706부터는 설정 파일의 형식 변화로 다른 플러그인 설정값을 ..
그동안 비디오 플레이어에서 버퍼링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고 있었는데, 요 며칠 빌드에서 제대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 하지만 개발 빌드라 요즘 새로 뒤집어 버린 애드온 관련 문제가 있다. 기본 스킨이 아니면 애드온의 설정 메뉴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는다. 몇몇 GUI버그가 있는데, 그 버그들은 #0613에서 고쳐질 예정. 그리고 지금 개발 버전은 18 Leira 버전이라 호환 안되는 몇몇 애드온이 있을 수 있다. 버퍼링의 답답함이 문제라면 업데이트하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커널 업데이트로 인한 USB의 기능향상도 조금 있었다. https://forum.kodi.tv/showthread.php?tid=298461&pid=2602223#pid2602223 다운로드Rpi : http://milhouse..
그동안 업데이트를 안하다보니 변한 내용을 몰랐는데, 정식 버전도 새로 업데이트되고 개발자 버전도 새로 업데이트된 듯. 그 중에 가장 최근의 빌드는 많은 부분이 업데이트되어서 USB기기의 플러그인 플레이도 문제가 없는 것 같고 게다가 며칠 전의 업데이트로 H265 소프트웨어 디코딩의 지원의 성능이 대폭 향상되었다. 그리고 고속 통신 대역을 위한 지원도 옵션에 추가되어 고속의 통신에 더욱 안정적으로 동작이 가능해졌다. http://forum.kodi.tv/showthread.php?tid=298461&pid=2589028#pid2589028 라즈베리파이2에서의 안정적으로 문제없이 동작하는 것을 확인. MLC SDCARD덕분에 라파2에서 무려 588일을 돌리고 있다 =ㅅ=; 21일 업데이트로 SMB와 라이브 ..
다시 약간의 수정. 그동안 메모리릭이나 기능의 개선이 많았다. 아직 완전한 것은 아니지만 많은 버그들이 고쳐져서 이전보다는 훨씬 안정. 주로 플레이어나 자막의 메모리릭등의 문제들이 해결되었다. 고쳐진 부분은 애드온 실행의 30초 제한을 50초 제한으로 변경. RPi2용의 이미지만 수정을 했다. https://mega.nz/#!oVwwUbCa!-1BDzW25kl7874oR7WRyhNEAH2dxsCyq55alKQEIHqg
한동안 업데이트가 필요없어 보였지만, 텍스쳐로 인한 GUI등에서의 메모리릭이 있어서 다시 업데이트. 메모리릭은 나쁜겁니다 =ㅅ= (0817) RPi1https://mega.nz/#!5MAw0LxJ!P72cQ_zr7ZHGKEPIr2d6nT90EewsFyhaxXh2PfRm3wM RPi2https://mega.nz/#!UdwkiJZC!CaBP8JC9e6EZqPpX-MX1CIYTCpGsLBk6v3M56sOujgs (0819) 이제서야 타임아웃 관련 코드를 확실히 이해. 2개의 값을 사용하는데, 하나는 타임아웃에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타임아웃이 Infinite(무한)인지를 체크하는 부분이었던 것. 이는 아마도 특정 API가 없는 리눅스에서의 구현 탓인 듯. x86 버전에서도 같은 방법이 사용되고 있음. 30초에서..
새로운 플레이어 기능이 도입되고 라이브 스트림에 대해 계속 끊기거나 화면이 버퍼링 되는 듯한 현상이 있었는데, 이제서야 제대로 해결이 된 것 같다. 0812일까지 있었던 라이브 스트림에서의 버퍼링되는 듯한 이상한 현상은 사라진 듯. 이래봐야 또 업데이트가 나오겠지만, 특별히 문제가 없고 플레이가 잘 되는 것을 확인. PI3 내장의 wifi의 터보모드에 대한 트윅도 있었다. 더 안정한 네트워크 스트림을 보장하는 듯. RPI1 https://mega.nz/#!0QJS2LhJ!ZPiyY6_gmBfv0blK4Cp2UAnij3XLYoEdflPJPercSRE RPI2 https://mega.nz/#!AEYFmQ7Z!M7kdbTdi-7jBONmhsH8TVhWfLcFnO1nk0kUs0eAqDAE 30초를 스트립트 제한..
그동안에 몇몇 버그가 업데이트되고, 이번 테스트 버전에서는 ffmpeg의 mp3/HLS의 기능에 문제가 있었던 것들이 고쳐진 모양. OpenVPN과 VideoPlayer등에서의 업데이트가 주로 이루어졌고, 입력장치의 업데이트도 있었는데, 큰 차이는 못 느끼는 정도. 스트립트 30초 제약을 없애버린거라 무한 루프를 피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해야함. 그리고 개발버전이라 예기치 않은 버그가 있을수도 있다는 함정도 있다는 것 =ㅅ=; RPI1https://mega.nz/#!EA5TGJSD!vCPBWgYCIIHabfj2tJjDVLziXVOcJiroNjhd6ACWOBo RPI2https://mega.nz/#!UAxFDQbJ!DWbHfL6ndQZhcH__xqxAMJb3rqauTujWWr7_s_pXiJs
live TV에서의 문제가 있어서 다시금 업데이트. 디인터레이스로 인해서 생기는 문제.PVR에 대한 업데이트도 포함. RPi1https://mega.nz/#!8QIW0bBC!wJWYi7FIUC14-LH_1JtbvaV986va6w3LBrFEV6Old3I RPi2https://mega.nz/#!tRoAWYZT!GI7Zcl5d3rLspiYN7m59knuqn5PI7e9jL63E2JyMG00
시스템 문제(셧다운시 unmount로 인한 에러)가 있어서 업데이트. 기존의 빌드와는 큰 기능적인 차이는 없는 듯. adsp가 호환성 문제 등으로 빠져서 용량이 작아졌다. 스크립트 동작 시간 제약을 고친 것으로 동작은 하는데 완벽하게 문제를 해결한 것은 아님. 지금의 빌드들이 문제점이 그나마 적은 DVD 플레이도 지원되는 현재의 테스트 빌드. 수정되지 않은 오피셜 테스트 빌드를 사용해도 문제가 없을거라고 생각. RPi1 https://mega.nz/#!VcBSVKbT!1tdU8gfIrpRqqrItpNgfy8nTJifdapipu5cDootj-QU RPi2https://mega.nz/#!hV5iiZzQ!r-JbdRwBlehDSDFUUwAwg5O9l7gXnk0aLbnfwJDVsbM lirc문제는 새로운 파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