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AMF (9)
마음 속 하늘은 항상 맑음~!
많은 안정성과 관련된 버그들을 잡은 kdenlive의 20.04가 나왔다. 좋은 기능성에 비해 렌더링 부분은 하드웨어 가속이 빠진 ffmpeg(3월 버전)를 사용하는 것 같다. 그래서 CPU만 렌더링이 되는데, 낮은 스펙의 하드웨어로는 조금 더 느린 렌더링 속도를 가진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ffmpeg를 교체해버리는 작업을 시도했다. 먼저 ffmpeg 윈도우즈 빌드를 다운로드한다. 리눅스라면 다시 빌드하는 어려움도 있을 수 있겠다. 윈도우즈 빌드는 최대한 모든 옵션을 다 사용해서 컴파일 한 것 같은데 하드웨어 가속도 제대로 지원하는 것 같다. 일단 Nightly 빌드인 날짜가 찍혀있는 것을 선택하고, 윈도우즈64비트를 선택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shared linking 버전을 선택하고 Dow..
OBS AMF 인코더 셋팅에서 "사전분석 처리"와 "VBAQ"를 활성화하면 화질이 더 나아진다는 내용을 발견. 기본적으로는 비활성화되어 있다. 설명에는 실험적인 옵션으로 설명되어 있어서 아마 많이 건드리지 않는 옵션으로 이는 "보기 모드"를 "달인"으로 해야만 나타난다.
OBS AMF 플러그인이 1.4.3.8로 업데이트. 이 업데이트에서는 자동 VBV버퍼에 대한 설정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인코더의 비트레이트안에서의 화질을 결정하는 QP의 기본 최소값을 11이 되었다. OBS 17버전에서는 더 낮은 플러그인이 들어가서 업데이트해야 한다. https://github.com/Xaymar/obs-studio_amf-encoder-plugin/releases/download/1.4.3.8/AMD-Encoder-for-OBS-Studio.1.4.3.8.exe https://github.com/Xaymar/obs-studio_amf-encoder-plugin/releases/download/1.4.3.8/AMD-Encoder-for-OBS-Studio.1.4.3.8.zip..
새로운 비디오 드라이버 16.12.2가 업데이트되어서 다시 업데이트된 듯. 드라이버를 16.12.2로 업데이트 했다면 업데이트 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운로드 : https://github.com/Xaymar/obs-studio_amf-encoder-plugin/releases/download/1.4.3.4/AMD-Encoder-for-OBS-Studio.1.4.3.4.exe 논외로 드라이버 16.12.2는 몇몇 와이파이 어댑터에서 와이파이 핑이 느려지는 느려지는 문제를 잡아냈고, 프리싱크의 모니터에서 몇몇 문제를 해결하는 등의 업데이트가 있었고, 현재 ReLive는 엑박 DVR기능과 충돌하는 문제점이 있다고도 언급되어 있었다. 290 380등의 하드웨어 제품군에서의 메모리 클럭 문제는 아직 해결하지 못했..
크림슨 드라이버 16.12.1에 새로운 기능 ReLive가 추가. 이로 인한 드라이버 쪽에 약간의 변경이 있었던 듯한데 그로 인해서 API쪽에 변경이 있었던 듯. 그렇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새로운 버전의 1.4.3.3 플러그인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짐. https://github.com/Xaymar/obs-studio_amf-encoder-plugin/releases/download/1.4.3.3/AMD-Encoder-for-OBS-Studio.1.4.3.3.exe 실험적인 Full Range Color 기능으로 인해 인코딩에 문제가 생기는 버그도 잡혀서 나왔다. AMD의 ReLive는 엔비디어의 새도우플레이보다 성능 소모가 낮아서 기술적으로 더 나은 캡처 기능인데 아직은 OBS AMF 플러그인의 화질에..
크게 달라진 점은 여러 AMD의 스위칭 그래픽 카드를 쓰는 노트북에서의 문제를 잡았고, QSV사용할 때 네트워크 문제로 프레임 하락으로 인한 프레임 손실을 잡은 듯. https://github.com/jp9000/obs-studio/releases/download/0.16.6/OBS-Studio-0.16.6-Full-Installer.exe AMF 플러그인은 다중 그래픽카드를 사용하는 인코딩이 가능토록 업데이트. 버전 1.4.2.3 https://github.com/Xaymar/obs-studio_amf-encoder-plugin/releases/download/1.4.2.3/AMD-Encoder-for-OBS-Studio.1.4.2.3.exe AMF는 이미 1.4.2.3으로 업데이트. 업데이트 하지 않..
OBS가 0.16.4로 업데이트 되었다. 윈도우즈판만 그렇게 업데이트되었는데, 그동안 윈10 1607에서 있었던 캡춰관련 문제가 0.16.3에서 임시적인 방법으로 해결되었고, 0.16.4에서는 AMF의 버그가 잡혔다. 그리고 다시 0.16.5로 업데이트. 윈10 1607(AU)의 드라이버 문제로 인한 문제가 해결. 윈 10 1607(anniversary update)를 쓴다면 꼭 해야하는 업데이트. 다운로드 : https://github.com/jp9000/obs-studio/releases/download/0.16.5/OBS-Studio-0.16.5-Full-Installer.exe (추가) 또한 AMF 인코더 플러그인도 다시 1.4.1.5로 업데이트. 이제 DLL만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업데이트 빈도..
하드웨어 인코딩 기능을 몇개 정도로 더 쓸 수 있는가 찾아보니, 9xx 모델이하에서는 2개가 최대이고 더 사용하려고 하면 더 사용할 수 있는 하드웨어가 없다는 오류를 낸다고 하는데 그 이상의 하드웨어에서 어떨련지는 모르겠다. 찾아봐도 뭔가 제대로된 문서가 안보인다. 여튼 NVEnc는 2개가 최대인 것으로 끝. 대신 AMF(AMD Media framework)의 문서에는 API가 있는데 그것으로 가용할 수 있는 스트림 수를 얻어낼 수 있는 모양인데, AMD 폴라리스에서 AMF 플러그인 로그를 보니 무려 16개가 잡힌다. 이게 실제로 동시에 가능한 스트리밍 개수인지는 모르겠다. 다른 내용이 없어서 아직 확실히는 모르겠다. 어쨌던 2개 정도는 가뿐하겠지라고 생각. 만약 16개 동시 스트리밍 인코딩이 가능하다면..
OBS에서 더 제대로 AMF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새로운 인코더 플러그인을 소개. 일단 이 인코더 플러그인은 0.15.4 이하에서만 작동한다. 0.16.0부터는 인코더 플러그인이 내장되어 있는데, 이는 0.16 버전이 업데이트 되는 것만으로만 새로운 버전으로 업데이트 가능하다. 그런데 지금의 0.16.2는 구버전의 AMF 인코더 플러그인의 기능을 적용하고 있고, 꽤 시간이 지난 지금에도 업데이트는 안되고 있다. 0.16.2의 소소한 버그들을 잡고서 나올 모양인데 그 새로운 버전을 기다리기엔 내장 AMF 인코더에는 아직 몇몇의 문제가 있다. 그래서 0.15.4와 함께 개별적으로 포함되는 같은 개발자의 플러그인을 사용하는 방법을 시도해본다. 먼저 OBS 0.15.4를 설치한다. 이 설치를 하고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