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623)
마음 속 하늘은 항상 맑음~!

2SK117 JFET을 이용한 증폭회로를 설계하고 간단하게 테스트를 해봤다. 인터넷에 돌아다니던 JFET 증폭회로 설계 방법론은 2SK117에는 먹히지 않는다. 그래소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해서 적당한 파형 왜곡이 없는 부분을 대입 방법으로 찾아냈다. 오실로 스코프로 피크 55mV 사인파형이 피크 150mV로 증폭하는 것을 확인. 단점은 5V 전원으로 설계된건데 증폭이 3배 밖에 안된다. 전압이 높으면 R2를 조정해서 증폭이 올라갈수도 있다. 증폭단을 복제해서 늘리면 더 높은 파형이 가능할수도 있다. OP-AMP라는 빠른 방법이 있지만 그냥 시도해봤다. 2SK117은 증폭기 설계로는 좋지는 않은 듯 한데 아마 전원을 5V로 너무 낮춰서 만들어서 그런 것 같다.
한때 유명했던 롬라이터 중에 EZP2019+라고 있었다. 지금도 판매하는 중이고 이는 8051계열인 CH552G 칩셋으로 만들어진걸로 알려져 있다. EZP2023+는 CH554로 만들어진걸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EZP2019+와 EZP2023+는 장치 아이디가 같다. EZP2023+ 프로그램으로 EZP2019+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다.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는 중요하지 않고 문제는 소프트웨어인데, 이게 박스에 미니 CD롬으로 담겨져서 온다. 그리고 하나 더 문제는 EZP2019+의 드라이버인데 이게 libusb를 사용하기 때문에 필터 드라이버 때문에 윈도우즈 드라이버 서명 인증을 끄지 않으면 설치되지 않는다. 이 문제는 해결하기 위해 zadiag라는 서명된 드라이버를 만들어주는 프로그램을 사..
이미 웹을 검색해보면 Regedit으로 하는 방법이 있지만, 그 과정이 복잡한 편. 그래서 간단히 innosetup 인스톨러를 이용해 스크립트도 붙이고 해서 만들었다. 스크립트 코드는 윈10 이상을 체크하는 것 말곤 특별한게 없다. 더보기 ; Script generated by the Inno Script Studio Wizard. ; SEE THE DOCUMENTATION FOR DETAILS ON CREATING INNO SETUP SCRIPT FILES! #define MyAppName "Win_web_disable_search" #define MyAppVersion "1.0" [Setup] ; NOTE: The value of AppId uniquely identifies this applic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