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전압 (3)
마음 속 하늘은 항상 맑음~!
좀 더 전압이 안정한 TL431 레귤레이터. Q1 앞 부분은 그냥 커런트 소스 회로이고 이 회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C1이다. C1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전압 정확도가 부하에 따라 변화하는게 달라진다. 0.01uF(103)을 사용해도 큰 문제는 없었지만 가장 보편적인 0.1uF(104)을 사용했다. 인터넷에 검색해보면 C1이 붙은 회로가 정전압 회로라고 나오기도 한다. Q1을 포함한 앞부분을 그냥 저항 1개로 대체해도 되지만 전압에 따른 발열이나 전류량의 변화로 좀 더 정확도가 떨어지는 전압이 나온다. Q1은 PNP형이라면 어떤걸 써도 무방하다. 5V를 얻으려면 분압저항을 만들어 같은 값을 사용하고, 중간에서 TL431 Ref 단자로 입력하면 해결된다. 이는 낮은 전류를 위한 회로로 터치센서(TTP..
간단히 기본 회로에서 약간의 구성을 바꾼 buck 컨버터로 5v 출력 전원을 위한 회로. LM2576-5.0이 800냥, 쇼트키 다이오드 150냥 코일 350냥 등등의 가격이다. 출력단에 쇼트키를 물린 것은 배터리 같은 부하를 연결했을 때 반대로 흐르지 않게 하기 위함. 필요가 없을지도 모른다. 최대 출력 전류는 3A. RV1은 쇼트키 다이오드의 전압 강하(0.4v정도)를 보완하기 위해서 조절이 필요하며, 더 높은 전압을 뽑아내는 것도 가능하다. RV1은 10k 이상의 값을 사용하면 된다. 출력전압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부하가 물려야 제대로 테스터로 확인이 가능. D2 앞단에서 5.5v로 조절하면 5.3v정도 찍으면 출력으로 5.0v 전압이 나온다. (회로도를 업데이트) R2 10k를 추가했는데, 보다 잘..
인터넷에 돌아다니던 초간단 전류 증폭회로를 구성해서 실험을 해보았다. 아주 간단한 컨셉으로 부품도 몇개 필요없다. 마침 몇개 가지고 있던 MJE3055T가 효자 역할을 단단히 하고 있다. 7805의 정전압 IC를 트랜지스터에 연결시키는 방법인데, 묘하게 작동한다. 가변저항 R1을 없애고 바로 접지에 연결하면 4.5V정도의 전압이 나오고 1k 가변저항을 연결해서 어느 정도 조정을 하면 5V에 가까운 전압을 설정할 수 있다. 7805단까지는 왜 그런 줄 알겠는데, 트랜지스터 MJE3055T단에서는 왜 그런지는 모르겠다. 일단 출력에 저항을 걸어서 전압을 측정해보니 제대로 값이 나왔다. 전력소비가 MJE3055T와 함께 7805가 같이 걸려 발열이 증가하는지는 확실히 모르겠고, 역시 부하에 비례해서 안정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