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하드웨어 (79)
마음 속 하늘은 항상 맑음~!
윈도우즈 XP에서 보다 빠른 하드웨어 액세스 위한 AHCI 드라이버 사용을 위해서 만든 인스톨러. AMD A55 칩셋의 AHCI에 대응. 스크립트 포함. 레지스트리를 건드리는 위험없이 깔끔하게 해결 가능한 유틸리티로 INNOSETUP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다른 칩셋의 드라이버도 INF 파일등을 참고하면 같은 기능으로 만들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 SiS 1185 호환 드라이버 추가. - JMC3xx, Marvell 91xx 추가. 수정이 용이하도록 스크립트 파일을 보다 간소하게 정리. - 인텔 칩셋 드라이버 추가. - 처음~
PIC의 비교적 고급 모델(?)인 18F4550을 프로그래밍하는데, 주로 사용하던 ICProg 1.06c버전이 1000h부터 기록을 하지 못하는 문제로 잘 안되서 찾아보니 더 좋은 어플리케이션이 있었다. 자주 업데이트 되며 가장 저렴한 JDM을 지원하는게 장점이다 +_+. 이 프로그램이면 더이상 업데이트 되지 않는 ICProg나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제약이 있는 WInPIC800과는 안녕이다. 이 프로그램을 찾지 못했다면 삽집의 연속이었을지도 모른다. WinPIC800의 COM 포트의 고정된 어드레스 포트까지 디버거로 건드려가며 했는데 비정규 인터페이스 카드로 설정된 포트는 적용할 수 없었다. SI-Prog의 JDM으로는 위의 이미지와 같이 설정화면 중에 Data Out의 Invert 체크박스를 선택하면 ..
만들려고 준비 중인 500와트급 인버터. PIC를 이용한 회로이지만 PIC는 단순하게 타이밍 클럭을 제공하며 555를 이용한 타이밍보다 정확해서 이렇게 만들었다고 한다. 12볼트를 입력받아서 220볼트(트랜스포머가 중요) 정도로 변환이 가능한 회로. PIC 부분은 다른 것을 써도 되는 것 같고 중요한 부품 중의 하나가 STP55NF06L이다. 메이져 부품 사이트에서는 찾기 힘들어서 검색을 해보니 대치품 중에 FQP50N06L라는 부품이 다행히 존재했다. 이 FET의 특징은 5V에서도 최대에 가까운 스위칭이 가능해서 문제없이 구동될 수 있다는 점. PIC의 5V출력을 이용하려면 어쩔 수 없는 부분. 언제 만들지 모르지만 일단 찜. 출처 : http://www.m0ukd.com/electronics/modi..
가끔 쓸데없는 일을 하고 싶을때가 있다. -_-; asrock 770icafe 1.50 바이오스에 microcode 업데이트. 아래 첨부는 biostar a780l 6,x microcode 업데이트. 아래 첨부는 asrock M3a785-LE 1.10 바이오스 업데이트. 2011.7.7
ASUS SLIC와 SLP를 설정한 7/20 바이오스. 아직도 SLEEP 모드 문제 패치는 없네. 사실상 이제는 이 메인보드는 퇴출 라인으로 가고 있으니 -_-; 그냥 쓸데없는 mod. 되는지 안되는지 아직 확인도 안해봤다.
저렴한 모 업체의 메인보드. B사가 만든 메인보드로 저가이지만 나름 만족할만한 성능을 지녔다. A사처럼 연구소까지는 아니지만 나름 잘 만들어 내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런데 갑자기 뜻하지 않은 문제점들이 생겼다. ACC 하에서의 wakeup문제와 이번엔 오버클럭하에서의 wakeup문제가 바로 그것. ACC하에서의 wakeup문제는 HyperTransport를 설정하면 문제가 해결된다. 하지만 이번의 새로운 버그라고 여겨지는 오버클럭하의 wakeup문제는 어찌 해결할 방법이 없다. 바이오스의 wakup코드쪽에 문제가 생겼다고 볼 수 밖에 없었는데 그렇게 가정하고 국내 유통사에 물어보니 답이없다. 기술적인 한계인걸까? 그전에 B본사에 물어봐도 답장이 안온다. 전력모드를 설정하고 자주 사용한다면 B사는 ..
많은 사용자들이 심심치 않게 운영체제를 다시 재설치를 하곤한다. 그 재설치는 상당히 시간을 요하는 것으로 자주 하게되면 시간 낭비로 이어진다. 이를 해결하고자 많이 사용하는 것은 바로 Ghost였다. 파티션에 파일 단위로 내용을 백업하고 다시 복구할 수 있는 아주 간단한 솔루션으로 간단히 장치드라이버와 기본 설정만 백업하면 CD 한장의 이미지 용량으로 복구디스크를 만들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 필요한 프로그램까지 셋팅해서 한꺼번에 백업하는게 일반적. 그러나 Ghost는 문제가 있다. 이는 상용프로그램으로 구입하지 않으면 쓸 수가 없다. 리눅스가 많이 보편화되면서 새로운 CD이미지로 하드디스크에 설치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리눅스들이 나오기도 하는데 그러한 기술들은 차후 복구 솔루션에 이용된다. 흔히 이..
XP는 사실 편하지만 몇몇 지원의 부족으로 인해 근래의 빠른 하드웨어 발전에서는 밀리는 것 같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GPU 의 동영상 코덱의 가속 지원 문제인 것 같다. 타 운영체제에서는 기본적으로 지원되거나 하는 기능이 XP에서는 지원되지 않거나 상용 코덱을 구입하거나 해야 한다. nVidia에서는 PureVideo라는 것이 있으나 트라이얼로 시험판만을 사용할 수 있다. 더 사용하려면 구입을 해야 한다. 하드웨어를 만들어놓구 끼워팔기라니 -_-; 최신의 divx-codec 번들도 XP상에서 동영상 가속 지원기능을 가능케 만들지만, 뭔가 잡다한게 많이 설치되고 설치하는 도중 온라인으로 받는 파일들이 있다. 뭔가 좀 꺼림직. 검색을 하다가 코덱으로 직접 지원하는 것이 아닌 소프트웨어 자체의 지원으로 동영..
ACPI(Advanced Configuration & Power Interface)는 전력관리나 시스템 자원관리를 위해 사용하는 표준이다. APM의 상위기술로 APM은 윈도우즈 VISTA 이상에서는 더이상 지원되지 않는다. 최신의 컴퓨터들은 ACPI를 모두 지원하고 있다. 이 ACPI도 버전이 있다 1.0~4.0까지의 버전이 존재하며, 중간에 마이너 버전들이 있다.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0 : 최초의 버전으로 1996년 12월에 표준이 만들어졌다. 16비트와 32비트 어드레싱을 지원한다. 2.0 : 2000년 8월에 만들어졌으며, 64비트 어드레싱을 지원하며 다중 프로세서를 지원한다. 서버를 타겟으로한 버전으로 알려져 있다. 3.0 : 2004년 9월에 표준이 만들어졌으며, S-ATA, PC..
AMD 라인으로 업글을 하다가 다른 곳에 금전이 나가는 바람에 단일코어인 사르가스를 구입. 분명 박스에도 단일 코어라고 되어 있지만, 메인보드의 ACC 기능이 있는 칩셋 SB710이 달려서 부팅시 F3과 F4번 중 하나를 눌러주면 쉽게 바꿀 수 있었다. 기대치 않은 소득. 코어 활성도 문제없고 작동도 잘한다. 문제는 지금의 파워가 VGA와 CPU의 전력 모두를 만족하지 못한다는 것. 사르가스는 단일코어로 45W 전력 소비 프로세서인데, 이게 듀얼로 만들면 80W에 육박하는 것 같다. 코어의 온도 변화는 착한 것 같아서 별 차이는 없는 것 같으나 VGA의 80W정도와 합하면 350W 밖에 안되는 파워서플라이가 펑하고 터질것만 같아서 그냥 테스트하고 다시 원위치. 메인보드는 BioStar A780L이란 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