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기타 (263)
마음 속 하늘은 항상 맑음~!
트위치나 아프리카를 지원하는 온라인 스트리밍 프로그램으로 파이선으로 만들어졌다. 사용자의 컴퓨터에 url에 대응하는 간단한 로컬 서버를 만들고, mpeg ts가 지원되는 미디어 플레이어등으로 볼 수 있는 방법으로 웹브라우저의 플레이가 많은 CPU를 차지하는 것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다운로드 : https://github.com/chrippa/livestreamer/releases 윈도우즈의 Path로 정해져 있으면 사용하기가 쉬워진다. 이는 커멘드라인 툴로 따로 GUI가 만들어진 것은 트위치 밖에 없다. 트위치 GUI : https://github.com/bastimeyer/livestreamer-twitch-gui/releases (livestreamer.exe의 경로 설정과 미디어 플레이어의 경로..
새로운 플레이어 기능이 도입되고 라이브 스트림에 대해 계속 끊기거나 화면이 버퍼링 되는 듯한 현상이 있었는데, 이제서야 제대로 해결이 된 것 같다. 0812일까지 있었던 라이브 스트림에서의 버퍼링되는 듯한 이상한 현상은 사라진 듯. 이래봐야 또 업데이트가 나오겠지만, 특별히 문제가 없고 플레이가 잘 되는 것을 확인. PI3 내장의 wifi의 터보모드에 대한 트윅도 있었다. 더 안정한 네트워크 스트림을 보장하는 듯. RPI1 https://mega.nz/#!0QJS2LhJ!ZPiyY6_gmBfv0blK4Cp2UAnij3XLYoEdflPJPercSRE RPI2 https://mega.nz/#!AEYFmQ7Z!M7kdbTdi-7jBONmhsH8TVhWfLcFnO1nk0kUs0eAqDAE 30초를 스트립트 제한..
요즘 rtmp는 너무나 흔한 방송이 되었고 아주 널리 사용되는 듯 하다. 대부분의 인터넷 방송 스트림이 ffmpeg를 이용해서 GPL을 어겨가며 만드는 것을 보면 아주 그 인기는. 일단 FFSplit는 화면을 캡춰하는 등의 기능을 ffmpeg를 갈아서 만들었다. 개별적으로도 화면을 동영상으로 저장할 수 있는 기능도 지녔다. 영상을 만드는 툴이 FFSplit이며 다음의 페이지에서 다운 받을 수 있다. http://www.ffsplit.com/download/ 혹은 https://bitbucket.org/taqattack/ffsplit-public/downloads 최신 빌드는 0725이지만, 인스톨 후에 한번 업데이트 더 되어 0726이 된다. 그리고 처음 인스톨시에 ffmpeg를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라..
많은 시도 끝에 전압 변동이 적게 보다 안정한 조정이 되는 알고리즘을 다시 구현하고 최대 태양광 패널의 상한 값을 최대 전류량의 전압에 이하로 만들었다. 이전의 알고리즘은 태양광 패널의 상한값 보다 더 올라가는 경향이 있었는데, 그로 인해 출력 전력이 낮아지는게 있었다. 그리고 보다 단순화된 조절 알고리즘은 변동폭을 많이 줄이도록 해서 조금 더 안정적인 출력을 내도록 한다. 상한값 이하로 만드는 것이 패널특성에 대해 조정이 필요한지 여부는 더 알아봐야 할 부분. 실험치로 얻어내는 것은 역시 항상 이런 특성에 맞추기가 힘들다. 여튼 기존보다 더 잘 동작하고 더 많은 전력을 낼 수 있도록 동작하는 것은 확인.
live TV에서의 문제가 있어서 다시금 업데이트. 디인터레이스로 인해서 생기는 문제.PVR에 대한 업데이트도 포함. RPi1https://mega.nz/#!8QIW0bBC!wJWYi7FIUC14-LH_1JtbvaV986va6w3LBrFEV6Old3I RPi2https://mega.nz/#!tRoAWYZT!GI7Zcl5d3rLspiYN7m59knuqn5PI7e9jL63E2JyMG00
한동안 있었던 라이브TV 채널 전환에서 생기는 크래시 현상의 해결과 리눅스 커널 4.7. 각종 컴포넌트 라이브러리의 업데이트 등등. 기능적인 큰 변화는 없는 듯. RPi1https://mega.nz/#!1Uw2gQKT!mj52KDwFnzr6yo-MQnfFWTw-wFm1DCzibjtE7ZawAOQ RPi2https://mega.nz/#!pdghgIiA!cR46I8g14vsSe71PrZiPag5l0ibfhHWewfG6wxLX_OY
시스템 문제(셧다운시 unmount로 인한 에러)가 있어서 업데이트. 기존의 빌드와는 큰 기능적인 차이는 없는 듯. adsp가 호환성 문제 등으로 빠져서 용량이 작아졌다. 스크립트 동작 시간 제약을 고친 것으로 동작은 하는데 완벽하게 문제를 해결한 것은 아님. 지금의 빌드들이 문제점이 그나마 적은 DVD 플레이도 지원되는 현재의 테스트 빌드. 수정되지 않은 오피셜 테스트 빌드를 사용해도 문제가 없을거라고 생각. RPi1 https://mega.nz/#!VcBSVKbT!1tdU8gfIrpRqqrItpNgfy8nTJifdapipu5cDootj-QU RPi2https://mega.nz/#!hV5iiZzQ!r-JbdRwBlehDSDFUUwAwg5O9l7gXnk0aLbnfwJDVsbM lirc문제는 새로운 파일을..
약간의 수정을 가함. 0619를 사용한 이유는 이후의 빌드들은 리모트 컨트롤과 관련해서 약간의 문제가 있다고. RPi2에서만 테스트해보고, RPi1은 확실히 동작하는지는 모르겠심. 만약에 화면이 뜨지 않더라도 업데이트가 가능한 서비스는 작동 중이니 문제가 있으면 다시 되돌릴 수 있심. 첫번째 수정 방법은 보기좋게 실패. 부팅하니 화면이 먹통이 되는 문제가 발생. 망할 30초 =ㅅ=; 두번째는 과연 성공할련지. 일단 RPi2에서의 여러번 부팅을 해도 동작엔 큰 무리가 없는 것을 확인. RPi1https://mega.nz/#!NZ5WyYZY!eTmcF8HrOLMNsQLaWPgPerzVClw9AsKknC8gJ4ECGks RPi2https://mega.nz/#!pYIRBbja!TwP7GGPwohRdTLgbRx4..
3월말의 어느 때쯤과 4월달에 들어서 새로운 테스트 빌드는 이제 새로운 스킨을 기본으로 채택했는데, 이게 문제가 오래된 애드온 중의 몇몇은 이 스킨을 지원하지 않는다. 그리고 약간의 스킨 구조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져서 기존의 구버전의 스킨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 confluence 스킨은 개발자가 사고를 당한 후 계속해서 업데이트되어서 테스트 빌드에서는 3.0.7로 업데이트 하면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문제가 있는데, OpenELEC의 테스트 빌드를 업데이트를 해버리면 GUI가 사용하는게 힘든 상태 되어 버리는 것으로 난감한 상태에 이른다. 그런고로 4월달의 테스트 빌드를 업데이트 하기 위해서는 1. 먼저 estuary 스킨으로 바꾼다. 2. 테스트 빌드로 업데이트 한다. 3. 다시 confluenc..
최근 인텔 쪽에서 윈도우즈 쪽으로 제공한 마이크로코드 업데이트로 오버클럭킹을 강제로 제한한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고, 마이크로소프트도 이를 아무런 이야기도 없이 배포하고 있다.https://www.techpowerup.com/219923/intel-pushes-cpu-microcode-update-which-cripples-overclocking-non-k-skylake-cpus.html 이런 이유로 많은 오버클럭커들은 문제에 직면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윈도우즈의 마이크로코드 업데이트와 관련된 파일을 이름을 바꾸어서 방지하는 방법이 가장 널리 쓰이고 있다. 반대로 AMD는 이런 제한을 크게 하지 않는 것 같다. 하스웰 라인이라면 마이크로코드의 버전은 19h가 가장 오버클럭킹에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