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기타 (263)
마음 속 하늘은 항상 맑음~!
대충 몇몇의 애드온에 대한 저장소를 만들어서 자동 업데이트가 가능한 환경을 만들었다. 대충 업데이트가 되는 것을 확인했으나 다른 문제가 있을련지도. 버전 숫자를 잘못 찍는 바람에 하나는 0.9.3인데 0.9c로 나온다. 둘은 기능상으로 동일하다. 아래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기기의 폴더로 옮기고 압축 파일로 설치를 하면 리포지터리가 추가되며, 그 리포지터리 안에서 애드온을 설치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 파일은 달랑 실행파일만 있는터라, 본래 배포하는 곳에서 먼저 다운로드한 후 실행파일을 대체해야 한다. 문자맵과 파일 수정시 다시 로딩하는 기능들이 포함되었다. 오피셜 릴리즈는 1.0.0.0으로 문자맵 기능만 없다. http://www.uvviewsoft.com/cudatext/ 1.1.0.0 에서 개발 버전이 1.0.2.0으로 다운 그레이드. 몇몇 기능에 문제가 있는지 제거됨. 1.1.4.0 영문 이름이 아닌 폴더에서도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변경. 아직 바꿔야할 부분이 더 있는지 모르겠지만, 큰 무리없이 동작하는 것 같다. zip파일로 플러그인 등을 인스톨하는 부분이 약간 의심스럽지만, 잘 동작할걸로 믿고 =ㅅ=;
사이트 하나가 더 추가된 것을 이제서야 확인. 다른 문제가 없을련지 모르겠지만, 우선 잘 되는 것을 확인했다.
조금 신선한 편집기로 한글 입력이 되지 않던 것과 몇가지의 문제들을 해결. 원작자에게 알렸으나 언제 고쳐질지는 =ㅅ=; 임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기능의 플러그인을 python으로 퉁칠려는 시도를 보인 편집기. 폰트를 골라 사용하는데 조금 제한이 있다. 고정크기 폰트면 문제없이 사용이 가능. 문제는 리스트에 보이냐는 것이겠쥐. 다중 캐럿 입력이란 기능이 있는데, 여러 군데에 커서를 두고 입력하면 동시에 입력이 되는 방식. 신선하다. 가벼운 오픈소스의 편집기로 아래는 패치된 실행파일이고 http://www.uvviewsoft.com/cudatext/ 에서 본체 전부를 받아야 한다. 다양한 문법 강조와 HTML 편집에서는 자동완성도 가능하고, 블럭 묶음선이라던가 소소한 보기에 편하게 만드는 기능이 들어 있..
테스트 버전 1026부터는 상당히 안정화가 된 듯. 아직 버그들이 없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더 부드러운 플레이를 보여주고 살짝 느껴지던 버벅임도 적은 듯. 아직 PVR쪽은 자잘한 문제가 남아있고, 다른 스킨 사용으로 생기는 문제도 있는 듯. 하지만 기본 스킨을 이용 중이라면 문제가 없다. 1028b는 HDMI의 신호에 대한 펌웨어 패치가 있었던 듯. HDMI 출력에서 오디오 싱크 옵션에서 "Adjust PLL" 옵션이 작동하지 않던 문제가 해결된 되었다. 파이2 http://milhouse.openelec.tv/builds/master/RPi2/OpenELEC-RPi2.arm-6.0-Milhouse-20151028220833-%231028b-g0847aae.tar 파이1http://milhouse.op..
최근의 테스트 버전에서 새로 업데이트된 부분이 있어서 캐시 파일이 달라진 것으로 생기는 crash 문제가 있었는데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kodi/temp' 폴더의 '.fi' 파일을 모두 삭제하면 된다. 이 파일로 bookmark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 아마도 1015 업데이트를 보니 Variant의 할당에서의 null을 인지하는 것으로 문제가 되었던 것 같은데, 1015 빌드 이후에서는 아마도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본다. RPI2:http://milhouse.openelec.tv/builds/master/RPi2/OpenELEC-RPi2.arm-6.0-Milhouse-20151016210215-%231016-g3f21054.tar RPI1:http://milhouse.openele..
테스트 빌드 #1003부터 한글 입력을 지원. 한글 키보드를 활성화 라려면 다음 설정창에서 선택을 하면 됨. 설정 -> 모양새 -> 언어와 지역 -> 키보드 레이아웃 -> Korean ㄱㄴㄷ 테스트 빌드는 북마크를 찍으면 다시 실행되는 문제가 있지만, 별다른 큰 문제는 아님. 다만 다시 찾아들어가는게 귀찮을 뿐. 어떻게 발생하는 문제인지 아직 못찾고 있는데, 찾기가 참 힘듦. GUI 업데이트 도중에 나타난 문제인 것 같은데 아직 오리무중. RPi2 : http://milhouse.openelec.tv/builds/master/RPi2/OpenELEC-RPi2.arm-6.0-Milhouse-20151004220853-%231004-g5a03629.tar RPi1 : http://milhouse.openel..
코덱의 문제로 간혹 몇몇 플레이가 안되는 영상이 있었는데, 새로운 펌업으로 해결한 테스트 버전. 0723 테스트 버전과 함께 가장 쓸만하게 만들어진 테스트 버전인 듯. 새로운 리눅스 커널에 대한 패치 적용도 들어갔다. http://milhouse.openelec.tv/builds/master/RPi2/OpenELEC-RPi2.arm-6.0-Milhouse-20150725010645-%230724-g0cfb546.tar 그동안 빠졌단 librtmp의 업데이트 포함되었다. 이제 한동안 펌업 자주 안해도 되겠지 =ㅅ=; 그런데 0725 빌드가 새로 나왔다. 라즈베리파이의 vsync의 sleep문제점을 해결해서 비디오 프레임이 갑자기 이상해지는 문제(드롭,스킵,끊김)를 해결. 0725빌드는 Javis빌드라고 적..
라이브 티비에서의 문제로 시간 관련 코드가 전면적으로 변화. 이전에 있었던 옵션이 사라지는 등의 변화.단, 이 새로운 코드로 인한 문제는 시작 동영상 이전에 약간의 지연이 있는 것으로 큰 문제는 아님. h265(소프트웨어) 디코딩이 더 나아지고, 네트웍 성능에 문제를 일으켰던 부분이 사라졌다고도 함. 비디오 디코딩의 시간 동기화의 문제로 패킷 전송이 중단되는 등의 작은 문제도 있었던 듯함. http://milhouse.openelec.tv/builds/master/RPi2/OpenELEC-RPi2.arm-6.0-Milhouse-20150722230456-%230722-g0cfb546.tar 업데이트가 너무 잦다 =ㅅ=;
그동안 15.0에서 16.0알파로 변경되고, 많은 업데이트가 이루어짐. PVR 호환성의 문제가 있으니 유의해서 설치해야할 테스트 버전. 펌웨어 업글도 자주 있었고, 자잘한 업데이트가 많음. http://milhouse.openelec.tv/builds/master/RPi2/OpenELEC-RPi2.arm-6.0-Milhouse-20150719210202-%230719-g40fa430.tar 16.0 알파 버전은 새로운 글타래로 다시 시작. http://forum.kodi.tv/showthread.php?tid=2310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