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기타 (263)
마음 속 하늘은 항상 맑음~!
그동안 많은 부분의 조정이 있었고, 얼마전의 비디오 코덱의 펌웨어 라이브러리 업데이트로 좀 더 안정해진 플레이를 보장함. 조이스틱 지원은 거의 필요가 없겠지만 안정적으로 된 듯 보이고, 적외선 수광소자를 이용한 lirc 리코트 컨트롤이 너무 많은 타이밍을 요구해서 비디오가 플레이 되는데 끊기는 문제도 해결. 지금까지 가장 주된 업데이트는 PVR과 3D 영상의 부분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vsync지원이나 오디오 지원에 대한 업데이트도 여러번 있어서 더 잘 지원되고, 하드웨어 타이밍 문제로 사운드에서 잡음이 들리던 문제도 해결되었음. 그리고 Pi2 빌드를 통해서 Pi3버전의 하드웨어도 지원하게 됨. 아마존의 비디오 스트림을 지원하는 inputstream.mpd라는 바이너리 애드온에 대한 지원 문제가 해결. 하..
새로이 w10privacy가 2.1.1.0로 업데이트. 윈도우즈 업데이트 기능이 빨라졌다는 설명이 보임. 기존의 파일에 실행파일만 올려서 다시 압축.
확실하지 않지만 어쩌면 가능한 방법으로, 윈도우즈가 얼어버려서 전원을 내리지 않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상태를 해결해주는 방법이라고 함. 전원 관리에서 PCI Express의 "링크 상태 전원 관리"를 꺼버리고, "빠른 시작 켜기" 비활성화하면 된다고 함. 일단 팁을 얻어왔으니, 한번 실험을 =ㅅ=; 출처는 유투브.
RemixOS 베타 버전을 설치하는 다른 방법. grub2win과 설정파일을 이용하는데, 뭔가 좀 복잡하다. 이 방법은 이전의 data.img를 사용할 수 있다. http://forum.xda-developers.com/remix/remix-os/dual-boot-remixos-windows-usb-drive-t3324359 1. 일단, grub2win을 다운로드 받고, 설치할 파티션(폴더 grub2)에 푼다. data.img는 미리 다른 곳으로 옮겨놔야 한다. 2. 설치할 파티션에 RemixOS라는 폴더는 루트에 만든다. 3. efi 폴더의 파일들을 RemixOS 폴더에 푼다. 4. 그리고 다음 목록의 파일들을 RemixOS 폴더에 푼다.initrd.imginstall.imgkernelramdisk.i..
늦은 오후에 드디어 베타 버전이 토런트로 올라옴. 64비트 버전은 빼고, 32비트 버전만 다운로드. https://mega.nz/#!EBJRDCzY!G4AUINwGPgDb0j4m0dsQ5nl3TiK5Zk765ZjN90MKwY8 아직 설치는 해보지 않았고, 일단 클라우드에 업로드. 560메가 바이트. 내용물에는 iso 파일과 설치툴이 들어 있심. 하드 디스크에는 8기가의 데이터 파일이 가능하고, USB에는 조금 더 큰 데이터 파일이 생성 가능하다고 설명. 아직 설치를 해보지 않아서 내용은 알 수 없심. (추가) 묘한 에러로 부팅이 안되는 상태 =ㅅ=; cpu node가 어쩌고 하는데, 부팅이 멈춰버림. 베타 버전은 이제 새로운 파티션 특성을 가짐. 정상적인 인스톨을 해야 제대로 작동한다. 데이터 파티션은 ..
윈10의 자동 업데이트를 수동으로 하는 방법. 장단이 있지만 강제로 업데이트 하는 것을 막아준다. 업데이트는 수동으로만 가능한데 잘 된다. 원문의 링크는 여기로 거기서 필요한 파일들을 모아서 간단히 압축해서 올린다. http://betanews.com/2016/02/22/control-windows-10-updates/ 내부의 실행파일 중에 W10Privacy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다. 그러면 천천히 창이 뜨는데 먼저 복원점을 만들겠냐는 창이 뜬다. Yes를 눌러 복원점을 만든다. 만들고 나면 다시 복원점을 확인하겠느냐고 창이 다시 뜬다. NO를 누르면 창이 닫히고, Yes를 누르면 복원점 복구 창이 뜬다. 확인까지만 하는게 좋다. 다른 메뉴는 손대지 말고 상단 메뉴에서 "Extra > Windows ..
플래시 메모리로 언제 망가질지 모르는 위험을 피하거나 부팅의 귀차니즘을 피하기 위해 하드디스크에 설치하는 방법이 있었다. 복잡한 방법들은 피하고 싶고 그래서 간단하게 방법을 찾았다. 1. 먼저 따로 프라이머리 파티션을 만들고 FAT32로 만들고 거기에 ISO파일을 복사한다. 8기가 정도로 잡으면 넉넉하다. 2. easybcd란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한다. 커뮤니티판을 다운로드해서 사용하면 되는데, 부팅 때 어느 것으로 진행할지 선택할 수 있다. 바이오스에서 secure boot 기능은 꺼야한다. 3. easybcd의 메뉴에서 iso 방법을 선택해서 따로 만든 파티션에 복사한 ISO 파일을 선택한다. 창이 하나 더 뜨고 작업이 시작되는데 시간이 제법 걸린다. 4. 작업 후에 새로 만든 파티션에 ISO파일만 달..
그동안 왜 x86이면서 x86-64만 되냐는 이야기가 나왔는데, 드디어 2월 1일에 새로운 32비트 이미지를 내놨다. 문제는 구글 그룹에서 토런트로만 배포를 해서 공식적으론 안보인다. 토런트 말고 따로 받을 수 있는 링크를 만들었다. https://mega.nz/#!sZgDUbwA!ViupPWhHVYTYFyEMV4MedAFBcZNmrYW69pgHgvPK26k 토런트로 받을려면 이 링크를. http://www.google.com/url?q=http%3A%2F%2Fremix.jide.com%2F6&sa=D&sntz=1&usg=AFQjCNG6VlgcsALmv_EJWtPXjVER3uC2Vg T2330 프로세서의 구형 보트북에서 아주 잘 되는 것을 확인. 폴라리스는 업데이트 때문인지 잘 안되고, 크래시오브클랜이나..
x86 안드로이드 OS인 Remix OS 2.0 첫번 알파 버전이후에 2개로 분리된 다른 알파 버전을 배포. 업데이트 하고 그동안 묵혀두던 키보드가 가능한지 앱 설치가 가능한지를 시도. http://www.jide.com/en/remixos-for-pc#downloadNow EFI 버전과 Legacy 버전이 따로 존재한다. 둘 중에 하나를 받으면 된다. 오래된 컴퓨터라면 Legacy를 사용하면 된다. 물론 64비트 지원이 가능한 CPU에서만 작동한다. 기본 설정에서는 앱설치가 불가능하다. 앱스토어가 없으면 안되다면 뭐라뭐라 =ㅅ=; 이는 특별한 앱을 다운로드해서 실행하면 된다. https://www.dropbox.com/s/xig55qb7yd41iwq/GMSInstaller.apk?dl=0 왜 이 앱이 ..
개발자가 아이가 다치는 일로 개발을 중단을 선언해서 5.1.16 이후로는 버전업이 없는데, 결국 포럼의 능력자들이 지금의 테스트 버전에 대한 대응 패치를 올려서 적용해서 5.1.17로 구분하기 쉽게해서 다시 업로드. 버전을 올린게 좀 그렇기는 한데, 구분을 위해서는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테스트 버전은 현재 1/22일 빌드부터는 많은 동영상 문제점이 해결되었고, 기본으로 애드온을 zip파일로 설치하는 것을 막고 있다. 1/23빌드는 쾌적. 경고 팝업창이 뜨면서 설정 메뉴로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5.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