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openELEC (30)
마음 속 하늘은 항상 맑음~!
비디오 플레이 등의 많은 문제가 해결된 새로운 테스트 빌드. http://forum.kodi.tv/showthread.php?tid=211501&page=107 http://milhouse.openelec.tv/builds/master/RPi2/OpenELEC-RPi2.arm-Milhouse-20150406210335-%230406-ge118851.tar 테스트 빌드의 중점이 HDMI 문제와 디버그 로그로 인한 OpenGL 기능 하강에 대한 펌웨어 업데이트와 DVDPlayer의 동영상 플레이 등의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설명. 디버그 로그로 인한 펌웨어 문제는 3월 23일 정도부터 있는 것으로 SSH로 접속해서 "vcgencmd version"이라고 해보면 펌웨어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다행이 0327d..
플래시 메모리를 편식하는 문제는 Openelec의 문제인 줄 알았던 내용이 라즈베리파이의 문제였던 것. https://github.com/raspberrypi/firmware/issues/397#issuecomment-83645370 아마도 현재로서는 어쩔 수가 없는 듯. 벤더 중에 트랜센드와 삼성은 피하는게 좋다. 샌디스크가 문제를 피하는데 가장 좋은 방법이랄까. 플래시 메모리의 리스트가 있기도 함. 랜덤한 문제로 딱히 확실하게 어떤 플래시가 나쁘다고 평하기는 힘든 듯. http://elinux.org/RPi_SD_cards#Working_.2F_Non-working_SD_cards 이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전원을 넣었을 때 부팅시의 LED 녹색가 7번 깜박이면 커널로딩 문제이고, 3번이나 4번은 ..
OpenELEC의 비디오 영상 stutter 버그는 아마도 해소된 것 같다. 그 패치가 적용된 빌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kodi 15.0 beta1을 적용한 빌드는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는데, kodi의 업데이트 계획을 보면 PVR을 제외한 애드온들은 gotham과 helix에서 쓰던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니 큰 문제는 안되는 것 같다. 베타 버전이라는게 흠이라면 흠 =ㅅ=; 우선 개발 빌드는 이 글 쓰레스에서 찾을 수 있으며, 많은 내용이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링크 중 RPi 와 RPi2 링크가 있는데, 그 링크를 클릭하면 테스트 버전의 압축파일을 받을 수 있다. http://forum.kodi.tv/showthread.php?tid=211501&page=102 http://milhouse...
GUI에서 일어나는 비디오 플레이 끊김 현상은 여전히 5.0.8에서도 일어난다. 지금 임시패치가 있지만 다른 문제가 있어서 다시 지연되고 있고, 아직 확실한 패치는 없는 듯. 문제의 원인은 GUI와 Video의 프레임 레이트의 차이인데, 낮은 프레임을 가진 영상에서 GUI가 나타나면 GUI의 프레임 레이트에 맞추느라 Video의 프레임이 망가지는 현상으로 보고 있다. https://github.com/popcornmix/xbmc/commit/b2f2b5088f329f8b391606d5570ffff938f7fdb3 OpenELEC 5.0.9에서나 업데이트될려나부다. 라즈베리파이2에서는 5.0.6이 아직은 몇가지 문제를 제외한다면 제일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는 것 같다. 아니면 OSMC(kodi이지만 GUI..
아래의 5.0.6 0326빌드는 어느 유저의 빌드이고, 오피셜 사이트에서 개발자가 빌드한 것을 찾았다. milhouse 빌드라고 이름이 붙어져 있고, 거의 날마다 하나씩 빌드는 했었던 듯. 그중의 하나로 3월 27에 만들어진 빌드가 있었다. https://docs.google.com/uc?id=0B-6zmEDJwxZEMG5YaE5HbzVjRGc&export=download 다른 빌드를 찾는다면, (주의 : 0327부터 kodi 15.0 로 된 파일들이 있음.) http://milhouse.openelec.tv/builds/master/RPi2/ 라즈베리파이2 버전으로 만들어진 압축파일들이다.
어제 5.0.7로 몇몇 버그와 함께 정식 kodi 14.2로 업데이트 되었으나, 라즈베리파이2 에서는 약간의 문제가 있다. 문제의 원인은 GUI의 렌더링 순위가 빨라서 비디오 영상의 플레이보다 더 렌더링을 하는 탓에 비디오 플레이가 GUI를 접근하고 한참동안 렉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버그리포팅을 하려고 했으나 가입 인증 메일이 =_=; 여튼 현재로서는 5.0.6을 사용하는게 좋다. 부트로더나 드라이버 문제인지 아니면 kodi 자체의 문제인지는 모르겠다. 다운그레이드 하는 방법은 SFTP로 접근해서 /storage/.update에 확장자 ".tar"인 압축파일을 복사해서 넣는 것으로 할 수 있다. img파일을 압축한 tar파일이면 안된다. 그냥 압축된 ".tar" 파일을 꼭 넣어야 한다. 라즈베리파이2의..
중간중간 코드 업데이트. 22min은 검색어로 에피소드 분류하는게 좀 어려운 듯 싶음. 나름 분류를 하려고 노력을 했으나 =_=; 태그나 특별한 분류가 없는 이유에서 더 어려운 것일지도. nScreen은 그나마 바람직한 제목 표기로 어느 정도 쉽게 구분이 가능. 그리고 임시파일을 지우는 코드를 업데이트. 기존의 방식은 디렉토리 전체를 날려버리는 방법이었으나 15일 이전의 파일만을 지우는 방식으로 전환. nScreen에서는 일부 파일의 이름이 자바스크립트를 통한 표기로 가져오지 못했던 것을 업데이트. 그리고 openelec에서 rar파일 압축을 해제하는 것을 지원을 하지 않는 듯. 이어지는 업데이트로 다운로드를 하려면 https://github.com/rasberryrabbit/service.subtitl..
openelec용의 또다른 같은 패턴으로 만든 다른 사이트 자막 애드온. 없으니까 만들었심. 목록이 조금 늦게 뜨는게 흠이라면 흠 =_=; 자막 애드온은 여기까지만 만드는걸루. 힘들다잉. (기본 목록 파일 제한을 줄임.) (20 - 버전 번호 표기 등등의 작은 수정들) (26 - enum 버그를 제거, 파이썬 초보이다보니. 파일 제한이나 페이지 제한이 제대로 동작.) github에 애드온을 올림. 만약 업데이트가 생기면 이곳에서. https://github.com/rasberryrabbit/service.subtitles.nscreen
대충 만든 자막 애드온. 너무 대충이라서 가끔 자막 리스트가 안보인다; 22min을 사용한 검색으로 가져오며 만약 자막이 안보이면 수동으로 검색어를 입력하면 우째 보이기도 한다. 일단 되는 것 같으니 더 손을 안대는걸루 =_=; 이런 오타가 하나 =ㅅ=; 21은 파일명이 보이고, 22는 제목이 보이는 형식으로 목록이 보임. 25에서는 설정과 몇몇 코드를 업데이트를 저질렸음. 27에서는 영타를 한글로 바꾸는 기능을 첨가. 바로 보여주지는 않고, 검색어를 직접 사용할 때만 기능이 작동. 그리고 미드 자막을 위한 더 손쉬운 애드온이 존재. https://github.com/cflannagan/service.subtitles.addic7ed
라즈베리파이에서 자막 애드온을 사용하는데 미묘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고 업데이트. 유니코드 처리의 개선 부분인데 아마도 14.0 helix에서 새로이 업데이트해야 하는 부분인 것 같다. 갑자기 잘되던 애드온이 어느 날 오류를 내던지면서 반항을 하면 바로 유니코드 처리의 문제로 주로 임시 파일을 사용하는 기능에 연관되는 것 같다. 다른 것은 모르겠고 곰자막과 subscene의 두개의 애드온만을 개선. subscence의 처리 방법에서 힌트를 얻은 것으로 곰자막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다. 간단히 subscene에는 log기능에 파일명을 뿌리면서 오류를 만드는데 주석처리하면 문제없이 된다. 해당 페이지를 가입해서 업데이트된 부분을 알리는게 도리인데 사이트 가입이 귀찮다 =ㅅ=; 그냥 이렇게 공개하는 것이..